[뉴스현장] 문 대통령-윤 당선인 회동 표류 '산 넘어 산'<br /><br /><br />문재인 대통령과 윤석열 당선인의 첫 회동이 계속해서 표류하는 가운데, 인선 문제를 둘러싼 대립에 이어 집무실 이전 문제 충돌 양상까지 빚어지면서 회동 전망은 더욱 어두워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 시각 정치권 이슈는 윤기찬 국민의힘 법률위 부위원장, 이강윤 정치평론가와 함께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 오늘 문 대통령이 이창용 IMF 국장은 한국은행 총재 후보로 지명했습니다. 청와대 측에서는 윤석열 당선인 측의 의견을 수렴했다 얘기하고, 윤 당선인 측은 청와대와 협의를 하거나 추천한 바가 없다고 얘기하는데요, 하지만 청와대 회동 협상은 여전히 산 넘어 산인 모습입니다. 특히 감사원의 감사위원 인선을 둘러싼 대립이 협상 공전의 핵심 원인인 것으로 알려졌는데요. 감사위원 인선 문제도 조율이 될까요?<br /><br /> 윤석열 당선인이 새 집무실로 삼기로 한 용산 국방부 청사와 관저로 사용할 한남동 육군참모총장 공관 사이를 직접 차량을 타고 이동해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'용산 시대'를 염두에 둔 시뮬레이션 차원으로 생각되는데요. 출퇴근에 문제가 없다는 걸 보여주는 의미도 있을까요? 이와 더불어 실무진에도 집무실 이전을 위한 사전 준비를 흔들림 없이 진행하라고 지시했는데요. 청와대의 협조가 불투명하지만, 그래도 물밑 준비는 계속 이어가겠다, 이런 뜻일까요?<br /><br /> 현재로선 청와대와의 협의가 원활하게 이뤄질지 안갯속 정국입니다. 특히 어제 열린 국회 국방위에서는 서욱 국방부 장관 역시 취임 전 이전은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는데요? 민주당의 안보공백 주장에 국민의힘에서는 문 대통령에게는 북한 미사일보다 청와대 이전이 더 큰 위협이냐고 반박했습니다. 이 모습은 어떻게 보셨습니까? 이전비를 두고도 공방이 오갔는데요.<br /><br /> 용산으로의 이전을 두고 여아의 첨예한 대립이 이어지면서 일각에서는 국방부 청사 인근의 전쟁기념관이 집무실 대안으로 거론되고 있는데요. 현재로선 내부 검토는 이뤄지지 않았지만, 이 가능성은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만약 취임에 맞춰 집무실 이전 계획이 불발될 경우에는 출퇴근 동선도 재조정해야 할 수밖에 없을 텐데, 지금의 청와대로 들어가지 않는 상황에서 현실적으로 문제가 없을까요?<br /><br /> 현 청와대와 윤석열 당선인 측의 대립이 첨예한 상황에서 이 같은 여론조사 결과는 어떻게 보십니까? 국민 여론조사를 실시해서 이전을 추진하는 방안 등은 고려해볼 수는 없을까요?<br /><br /> 민주당도 지방선거 기획단을 꾸리고 본격적으로 준비에 나선 모습입니다. 특히 민주당은 여성과 청년에게 30% 공천을 강제 할당하는 방안도 검토 중인데요. 이건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민주당이 서울시장 인물난에 고심에 빠진 모습입니다. 일각에서는 송영길 전 대표의 차출론까지 나오는 상황인데요. 그만큼 필승 카드가 보이지 않고 있다, 이런 의미로도 해석되는데요?<br /><br /> 국민의힘 지도부가 지방선거 공천 시 현역의원 10%, 무소속 출마 전력 15% 감점 지침을 발표했습니다. 가장 반발하고 나선 건 홍준표 의원인데요. 지방선거 공천 문제를 두고 내홍이 시작된 것 아니냔 평가도 나오고 있어요?<br /><br /> 박근혜 전 대통령이 내일 퇴원해 대구 사저로 입주하게 될 텐데요. 어떤 메시지를 낼지, 윤석열 당선인과의 만남이 언제 마련될 지가 주목됩니다. 어떻게 전망하십니까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